티스토리 뷰

Revision History

2016/05/14 15:43:54 - 최초 작성

  

Link

http://blog.naver.com/dong880510/140156182004

 

*** 되도록 원본을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펌] 글에서는 질문과 답변을 하지 않습니다. 질문도 원본에서 해주세요.

*** 좋은 글을 작성해주신 작성자님께 감사드립니다. 

 

최신 버전의 Virtual Box를 설치해본 후 많은 것을 느꼈다.

 

 

VMware Workstation에 대한 포스팅을 할 당시에 가지고 있던 Virtual Box는 3.0 버전으로

VMware Workstation 8.02에 비해 다소 부족( 사실 편의성 문제가 제일 컸다. )해 보였기 때문에

무료가 아닌 상용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VMware를 사용하기로 마음을 먹었었다.

( 사실 최신버전의 Virtual Box를 찾아보려고 하지 않았던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

 

 

하지만

2009년 4월, Oracle이 Sun( Sun Microsystems, Inc. )을 인수한 후 많은 것을 바꿔놓은 듯 하다.

 

 

오히려 VMware보다 훨씬 더 다양한 Hardware Configuration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을 많이 들어보니 Host PC의 자원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 예를 들어, 2D/3D Accelator를 Virtual Box가 더 효과적이고 뛰어나게 사용 한다는 등. 물론 '공유 폴더' 기능만 제외 )

 

무료 소프트웨어라는 강점을 살려서 Virtual Box에서 개발을 진행할 분들을 위해

Virtual Box에 Ubuntu를 설치하는 과정과 다음 포스팅은 Additional Tool 설치까지 쭈~욱 진행한다.

 

 

※ Virtual Box 설치방법은 기존의 여타 프로그램들과 차이가 없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대신 바로 아래쪽에 '다운로드 링크'를 참조하시면 쉽게 Virtual Box를 다운받으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번 포스트의 시작은 Virtual Box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상태에서 ubuntu Linux를 설치하는 과정입니다.

 

 

 

■ 작업 환경

   - Intel®  Core™ i5 CPU 750 ( 2.67GHz )

   - 4.00 GB Random Access Memory( RAM )

   - Windows 7 Enterprise K 32Bit SP1
 
 
 
■ 다운로드 링크

   - Virtual Box 4.1.10 for Windows ( x86과 amd64 모두 호환 가능 )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4.1.10/VirtualBox-4.1.10-76836-Win.exe

   - Ubuntu 10.04 LTS 64Bit

     http://www.ubuntu.com/start-download?distro=desktop&bits=64&release=lts





■ 설치 과정

   1.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VM을 생성하도록 하자.




   2. 새로 만들 VM의 이름과 운영체제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사실 이름에 ubuntu, 64Bit 등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운영체제 종류도 자동으로 설정된다.( 굉장히 편리함 )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운영체제는 Linux, 버전은 Ubuntu (64 bit)를 선택하도록 한다.

      

 


   3. 다음은 메모리 용량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마찬가지로 Host PC의 RAM에 따라 넉넉히 잡아주도록 한다.

      

 

 

   4. 다음은 Virtual Harddisk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기존에 생성한 가상 하드 디스크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해주며

      처음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새 가상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하도록 한다.

      ( 부팅 하드디스크 항목을 선택하지 않으면 VM이 만들어져도 따로 Disk를 연결해주지 않는 한 의미가 없다. )

      

  

  

   5. 가상 디스크 생성 마법사가 실행되면 사용자는 총 4가지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VDI는 Virtualbox Disk Image로, Virtual Box 전용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게 해준다.

      VMDK는 Virtual Machine Disk로, VMware와의 호환이 어느정도 가능하도록 해주는 방식이다.

      VHD는 Virtual Harddisk로 이는 Microsoft에서 나온 Virtual PC와의 호환이 가능한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HDD는 실제 물리 HDD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고급 사용자가 아니면 추천하지 않는다.

  

  

      필자는 이 4가지 방식 중 VMDK 방식을 이용하여 VM을 생성하도록 한다.

      ( 절대로 VMware에 미련이 남아서 이러는 것이 아니다....!! 라고 말하고 싶다. )



      물론 사용자가 이미 다른 가상 머신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면, 그 프로그램에 맞춰 생성하도록 한다.

      

  

  

   6. VMware Workstation 설치 때와 마찬가지로 가상 디스크의 용량 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당연히 사용 속도 등을 고려해 고정 크기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 지난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지만, 고정 크기를 선택해야 사용 시 속도가 빠르다. 물론 Host PC 용량의 비효율성은 증가한다. )



       또한, 만약 Host PC가 FAT32 등과 같이 대용량 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파티션 방식이라면 2GB 단위로 분할하기를 선택해준다.

       ( NTFS가 아닌 FAT32 등의 방식에서는 4GB가 넘는 파일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라면 2GB 단위로 분할한다. )

       

  

  

   7. 가상 디스크의 위치와 용량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위치는 Browse 버튼( 오른쪽 폴더 모양 )을 이용해 가상 디스크가 생성 될 위치와 이름을 지정한다.


       다음은 가상 디스크의 용량 부분인데,

       이 부분도 지난번 포스팅에서 소개한대로 Android의 공식 요구사항은 최소 6GB, 권장 25GB, 최적 90GB 이상의 용량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여유가 30GB 정도만 있어도 충분히 넉넉한 공간이므로 사용자의 남은 용량에 따라서 할당하도록 한다.

       

  

  

   8. 마지막으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VM Disk가 생성된다.

      ( 고정 할당을 선택하고 할당한 용량에 따라 생성 속도가 차이나므로 정상적으로 생성이 될 때까지 기다리도록 한다. )

      

  

  

   9. Progress Bar의 진행이 끝나면 실질적으로 VM을 만들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Virtual Box용 VM이 만들어지게 된다.

      

  

  

   10. Oracle VM VirtualBox 관리자로 돌아오면 VM이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어있다.

        세부적인 H/W Configuration과 ubuntu Install CD를 넣어주기 위해 설정(S)을 선택하도록 하자.

        

  

  

   11. '일반'의 '고급' 탭에서 클립보드 공유를 양방향으로 해주면 VMware와 같이 쉽게 Host PC와의 Clipboard가 공유된다.

        

  

  

   12. 다음은 왼쪽의 '시스템'에서  마더보드 탭을 보면 몇 가지 설정 항목이 있다.

        우선 기본 메모리는 이미 정해져있을 것이고, 수정 할 사용자는 이 곳에서 수정을 하면 된다.


        그 다음으로 나오는 것이 부팅 순서 항목인데, 플로피 디스크는 이미 퇴물이 된지 오래이므로, 체크표시를 제거하도록 한다.

        칩셋은 Mainboard의 South-Bridge Chipset을 의미하는 것으로, PIIX3와 ICH9으로 나뉘어진다.



        PIIX3는 PCI IDE ISA Xcelerator의 약자로, Intel 82371 Chipset을 의미한다.

        IDE Controller에 각종 기능( DMA, PIT, PICs,  PCI to ISA Bus Bridge 등 )들이 통합되어있으며,

        주로 x86 Virtualization( 가상화 )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어 지는 규격이다.

        ( PIT는 x86 기반의 8254 Programmable Interval Timer, PICs는 8259 Programmable Interrupt Controller를 의미한다. )


        ICH9은 I/O Controller Hub의 9번째 모델로, Intel 82801 Chipset을 기반으로 한다.

        이 또한 PIIX3와 비슷한 기능을 하나 두 가지는 기술 기반 / 방식에 의해서 나눠지게 된다.


        종합적으로 이 두 가지 방식 모두 South-Bridge의 역할을 도와주는 Chipset으로

        주로 비교적 느린 Hard Disk, Optical Disk, 기타 PCI 등을 위해 장착되어 진다.


        PIIX는 Intel에서 예전부터 계승되어오던 Chipset으로 뛰어난 호환성을 가진 대신 최신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다.

        ICH9은 PIIX3보다 더 최신의 기술로 Driver만 지원해준다면 최신 기술들을 접목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되어있다.



        깊게 들어가면 한도 끝도 없으므로, 기본적으로 PIIX3를 선택하도록 한다.

        ( ICH9이 PIIX3보다 더 최근의 모델이며, 운영체제의 종류 및 드라이버의 지원 여부에 따라 판단해 선택해야 한다. )



        또한, 확장된 기능 중 IO APIC 기능의 사용 여부 체크란이 있다.

        IO APIC란, Intel APIC Architecture로 Advanced Programmable Interrupt Controllers를 의미한다.

        이는 Intel의 Symmetric Multiprocessor( SMP ) Computing System을 위해 설계된 시스템으로,

        쉽게 설명하자면 기존의 Single Processor와는 다르게 Multiprocessor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만든 시스템이다.


        Multiprocessor, Multi-core, Multi-threading System을 사용하고 있다면 IO APIC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13. 이번엔 '프로세서' 탭으로 가서 프로세서에 대한 세부 사항을 설정하자.

        먼저, 프로세서의 개수는 Host PC의 프로세서 개수에 따라 최대 값이 결정되므로 이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빠른 Android Platform Compile을 위해서 Host PC의 최대 Core 갯수대로 설정했다.( 4개 )

        다들 각자 Host PC의 사양과 VM을 돌리는 목적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다음은 실행 제한 부분인데, 이는 말 그대로 Processor( 혹은 Core ) 당 최대 실행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만일 50%로 설정한다면, 실제 Core가 낼 수 있는 최대 속도의 50%까지만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기본은 100%로 설정하도록 해야 안정적으로 VM이 돌아가므로 그대로 두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확장된 기능은 PAE/NX의 사용 여부이다.

        PAE는 Physical Address Extension의 약자로, 32Bit System에서도 4GB 이상의 물리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Processor의 기능으로써, 이 기능을 이용하려면 OS에서 이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다만, 이 PAE 기술은 Windows의 DEP( Data Execution Prevention )기능 등의 기반이 되는 기술이므로 더욱 중요하다.

        DEP는 '데이터 실행 방지' 기능으로 불순한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들이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서 실행가능한 코드를 올려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 즉, 메모리의 데이터 부분에는 아무리 실행 가능한 코드라도 원칙적으로 실행하지 못하도록 해야하는 것이 맞다. )


        Software적인 측면에서는 Windows의 DEP이며, Hardware적인 측면에서는 Intel과 AMD에 따라 다르게 불리는데

        Intel 社에서는 XD( eXecute Disable ) Bit로, AMD에서는 NX( No eXectue ) Bit로 사용한다.

        ( AMD는 EVP( Enhanced Virus Protection )의 일환이며, 통상적으로는 AMD사의 NX가 공식 명칭이다. )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PAE/NX의 사용을 Enable 시켜주어야 하므로, 체크표시를 해두도록 한다.

        ( 단, 비교적 오래된 CPU에서는 이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확인하도록 한다. )

        

  

  

   14. 이번엔 시스템 항목의 마지막 탭인 '가속'에 대한 설정을 하도록 한다.

        우선 VT-x는 Intel의 가상화 기술, AMD-v는 AMD의 가상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상화 기술 사용 여부를 나타낸다.

        여러 개의 Core를 사용할 사용자라면 반드시 이 부분은 체크를 해두도록 한다.( 그래서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

       ( 자신의 PC가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여부는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도록 합니다. )


       또한, 네스티드 페이징( Nested Paging )이란 여러 가지의 OS를 동시에 사용( 즉, Host PC와 VM의 OS가 제각각 )하는 경우

       Cache, Memory의 Paging을 Nested 하게 구성하여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또한, Host PC와 VM의 OS가 다른 경우 체크표시를 해두도록 한다. 

     

  

  

   15. 왼쪽의 디스플레이 항목으로 넘어가자.

        디스플레이란 말 그대로 그래픽 성능을 위한 설정 부분으로 굉장히 성능에 민감한 부분이다.


        우선 비디오 메모리는 Host PC의 Graphic Card( Video Card, 혹은 VGA )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으로

        사실 이 부분에서 비디오 메모리는 최대로 설정해두어도 무방하다.( 이유는 어차피 VM도 비디오 메모리는 공용으로 사용 )

        ( 하지만 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위해 최대의 절반 정도로만 설정한다. )

        

        모니터 개수 부분은 Dual-Monitor 혹은 그 이상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부분으로,

        필자는 Dual-Monitor를 사용하는 중이라 모니터 개수가 2개까지 정상적으로 늘어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Host PC와 VM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냥 하나로 두도록 한다..!!


        '3차원 가속 사용하기', '2차원 비디오 가속 사용하기'는 말 그대로 비디오 성능을 위한 가속 사용 여부이다.

        3D Business나 게임 등을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라면 주저없이 3차원 가속 사용하기를 선택한다.

        ( 다른 목적의 사용자들도 왠만하면 이 옵션은 체크표시를 반드시 해주도록 한다. )

        

        사실 아주 오래전의 PC가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3D 가속이 가능한 그래픽 카드가 달려있을 것이다.

        심지어 메인보드 내장 그래픽 카드도 이 기술은 기본으로 탑재가 되도록 설계되어있다.



        2차원 비디오 가속 사용하기는 Direct Draw, GDI 등을 지원해주는 기능으로

        이 또한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반드시 체크를 해주어서 GUI의 구현 등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16. 다음은 네트워크 설정 부분이다.

        VMware와는 달리 크게 설정할 부분이 없이 네트워크 어댑터를 NAT 형식으로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터넷이 가능하다.

        ( 사실 VMware에서는 Gateway, DNS 등의 설정을 조금이나마 건드려야 하므로 이 부분에서는 VirtualBox가 우수하다. )

        

        어댑터 종류는 기본값으로 Virtual Box에서 제공하는 것을 그대로 이용한다.

        

  

  

   17. 마지막으로 OS의 설치를 위해서 저장소 부분으로 넘어간다.

        다음 그림의 빨간색 박스 부분을 차례로 클릭하여 설치할 OS Image File을 넣어주도록 한다.

        ( 우리는 위에서 다운받은 ubuntu Linux 10.04 LTS 64Bit 이미지 파일을 넣어주도록 한다. )

        

  

  

   18. 이제 마지막으로 확인 버튼을 눌러 모든 설정을 마친 후,

        나머지 부분은 VMware에서 ubuntu 설치하기 포스팅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 추가적으로 오디오, USB, 공유 폴더 부분은 필요한 사용자들의 입 맛에 맞게 설정하도록 한다. )

       

      ※ Linux ubuntu Install in VMware( VMware에 리눅스 우분투 설치하기 )

                                          : http://blog.naver.com/dong880510/140155119262

 

  


검색: VirtualBox, 버추얼박스, Virtualization, 가상화, Ubuntu, 우분투,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